본문 바로가기
식품 알레르기

우유 알레르기ㅣMilk Allergy

by itopy 2024. 6. 4.
728x90
반응형

 

© Imoflow, 출처 Pixabay

 

◈ 우유 알레르기란?

 

우유 알레르기는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음식 알레르기 중 하나이며, 모유 이외에 유아가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식품이기도 합니다. 우유 알레르기는 우유 단백질에 대한 면역계의 반응입니다. 우유는 많은 다양한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지만, 카제인(우유의 고체부산물)과 유청(우유의 액체부산물)이 항원 가능성이 가장 높은 두 가지 단백질 그룹입니다.

 

경미한 우유 알레르기는 유아가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없어지기도 하지만 심한 우유 알레르기는 유아의 성장발달과 정서적, 정신적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녀의 우유 알레르기 여부가 확실해진다면 즉시 유제품 섭취를 차단해 알레르기 수치가 더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유 알레르기와 유당 불내증은 증상은 비슷하지만 다른 질환입니다. 유당 불내증은 우유 단백질에 대한 면역반응을 수반하지 않으며 생명에 위협을 주지 않습니다. 유당 불내증은 우리 몸이 우유 속의 유당을 소화하지 못해 발생되며(락타아제 효소 결핍) 유당을 제거한 유제품(락토-프리) 제품이나 유당 효소를 복용하면 증상이 호전됩니다.

 

 

우유 단백질에 대한 면역반응이 지속되면 장의 하부에 염증을 일으키게 되며 구토, 설사, 점액변, 혈변 등의 다양한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우유 알레르기의 경우, 우유 단백질의 회피 이외에 특별한 치료법은 없습니다. 하지만 우유 알레르기가 있어도 건강한 삶을 사는 것이 가능합니다.

 

수유가 필요한 유아의 경우 유단백을 가수 분해하여 항원성을 낮춘 특수분유를 섭취하거나 대두 분리 단백을 이용한 식물성 분유를 대체식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식을 먹는 유아는 우유 대신 두유, 치즈 대신 두부 같은 식물성 단백질 식품으로 대체하거나 생선이나 육류 중 알레르기 반응이 없는 식품으로 대체하여 영양의 균형을 맞추도록 합니다.


 

◈ 우유 알레르기 증상

 

  • 피부 발진
  • 메스꺼움이나 구토
  • 혈변 (특히 유아의 경우)
  • 두드러기
  • 복통
  • 설사
  • 가려움증
  • 입술, 혀 또는 목의 따끔따끔함 또는 부종
  • 아나필락시스,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반응으로 호흡을 방해하고 신체를 충격에 빠뜨릴 수 있습니다.)

 

728x90

 

© jeztimms, 출처 Unsplash

 

◈ 우유가 포함된 대표 식품

 

우유 - 버터밀크, 버터밀크 혼합, 버터밀크 고형분, 스위트 크림 버터밀크 분말, 발효유, 연유, 전유 파우더, 무지방 우유, 염소유, 산양유, 락타이드 우유, 무유당유, 유당유, 유산 스타터 배양유, 저지방 우유, 우유 고형분, 무지방 우유, 무지방 우유 고형분, 저온 살균 우유, 분유, 탈지분유

 

버터 - 인조 버터, 버터 추출물, 버터 맛 기름, 버터 고형분, 유제품 버터, 천연 버터 맛, 휘핑 버터

 

치즈 - 치즈(모든 종류 및 모든 형태), 치즈 맛(인공 및 천연) 식품, 코티지 치즈, 크림 치즈, 모조 치즈, 치즈 딥, 카제인 포함 채식 크림 치즈

 

크림 - 휘핑 크림, 모조 휘핑 크림, 사워 크림

 

아이스크림, 푸딩, 샤베트, 요거트, 요거트 파우더, 누가 등


 우유 성분 표기명

 

· 카제인 및 카제인산 - 암모늄 카제인, 칼슘 카제인, 가수분해 카제인, 철 카제인, 마그네슘 카제인, 카제인산칼륨, 카제인산나트륨, 카제인산아연

 

· 커드 (응유 - 우유가 산이나 효소에 의해 응고된 것)

 

· 유청 - 산성 유청, 경화 유청, 탈착 유청, 탈염 유청, 가수분해 유청, 분말 유청, 환원 미네랄 유청, 가당 유청, 유청 단백질 농축, 유청 분말, 유청 고체

 

· 가수분해물 - 카세인 가수분해물, 우유 단백질 가수분해물, 유청 단백질 가수분해물

 

· 갈락토스 (젖당의 성분)

 

· 락탈부민(유청 단백질), 락탈부민 인산염

 

· 락툴로스 (우유에 함유된 2당류 물질로서 소화관에서 흡수되지 않아 소아의 만성 변비 치료에 사용됨)

 

· 락토글로불린 (유청 단백질의 약 50%를 차지하는 성분)

 

· 유당 (젖당이라고도 하며 우유에 함유된 자연당)

 

· 젖산


 우유 알레르기 관리법

 

우유 알레르기를 예방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우유 섭취를 피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일상 생활에서 유제품을 완벽하게 피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 항상 무엇을 먹고 마시는지 알아야 합니다.

 

· 제품을 사거나 먹기 전에 영양 성분 표시를 확인하세요. (제품을 마지막으로 먹었을 때 음식이 반응을 일으키지 않았더라 제조업자들은 조리법을 바꿔서 우유를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 만약 여러분의 아이가 우유 알레르기가 있다면, 그들의 친구나 반 친구의 음식을 받지 않도록 가르칩니다.

 

· 외식할 때는 우유 알레르기가 있음을 식당에 알리고 재료와 음식 준비에 대한 자세한 질문을 하세요.

 

· 우유 알레르기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 의료 경보 팔찌를 착용하거나 의료 경보 카드를 휴대합니다.

 

· 휴대폰의 앱에 의료 비상 설정 또는 음식 알레르기를 추가합니다.

 

· 의료진에게 우유 알레르기 여부를 알리고 심각한 수준이라면 위험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상황에 따라 의료진이 에피네프린 자동 주사기를 처방할 수도 있습니다. 중증 알레르기의 경우 위험 상황을 대비하여 본인이 항상 에피네프린 주사를 가지고 다녀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